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래재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9-17 21:12 조회9회 댓글0건본문
사진=교촌에프앤비 제공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순살치킨 메뉴 가격은 그대로 두고 중량을 기존 대비 약 30% 줄여 소비자들이 불만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특히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순살치킨과 비교했을 때 동일 중량 대비 가격차가 3~4배에 달해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논란에 불을 붙였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교촌치킨은 순살치킨의 조리 전 중량을 기존 700g에서 500g으로 약 30% 줄였다. 마라레드순살과 허니갈릭순살 등 신메뉴 10종과 간장순살, 레드순살 등 기존 메뉴 4종에 모두 적용됐다. 신메뉴 중량을 500g으로 맞춰 출시하면서 기존 순살 제품도 일괄 축소한 것이다.
즐거운주식투자
재료 구성과 조리 방식에도 변화를 줬다. 기존 순살 메뉴는 주로 닭다리살을 사용했지만, 비교적 값이 싸고 맛이 다소 퍽퍽하단 평가도 받는 닭가슴살을 혼용했다. 제품 조리법 또한 교촌은 치킨 조각에 소스를 일일이 붓으로 바르는 방식을 강조해왔는데 양념을 한꺼번에 버무리는 ‘텀블링 방식’으로 변경했다.
교촌이 가격은 그대로 유지한 채그린손해보험 주식
중량을 축소하고 재료 구성과 조리 방식도 바꾸자 가격을 올리는 대신 용량을 줄여 사실상 가격 인상 효과를 내는 슈링크플레이션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별다른 고지 없이 조용히 중량을 줄인 점도 소비자들이 불만을 드러내는 포인트다.
사진=뉴스1
황금성게임어플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순살치킨과 비교하면 가격 격차는 더 벌어졌다. 교촌에서 신메뉴로 출시한 마라레드순살(500g·국내산) 가격은 홈페이지 기준 2만3000원으로 100g당 4600원 정도다. 반면 홈플러스에서 판매 중인 당당 후라이드 순살치킨(600g·국내산)은 7990원으로 100g당 약 1330원 수준. 중량 대비 가격을황금성오락실
따졌을 때 교촌 순살 제품이 대형마트 순살 제품보다 약 3.5배 비싸졌다.
이처럼 체감 가격이 확 뛰자 아쉽다는 소비자 반응이 주를 이룬다. 서울 중구에 거주하는 40대 주부 이모 씨는 “아이들이 순살을 즐겨먹다 보니 집에서 치킨을 자주 시켜 먹는데 양이 줄었다고 하니 시켜 먹기 부담스러워진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직접투자
서울 용산구에서 자취하는 20대 장모 씨도 “순살치킨을 좋아하는데 중량이 줄어 확실히 전보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떨어진 느낌이 든다. 마트나 편의점에서 가격이 싼 치킨을 찾게 된다”고 했다.
사진=한경DB
'꼼수 가격 인상' 여론이 일자 교촌은 진화에 나섰다. 회사 관계자는 “점주들의 조리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매장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품 중량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신메뉴 출시 전 교촌은 5종의 순살치킨을 취급했는데 이 가운데 ‘허니순살’ 제품 중량만 500g이었고, 나머지 4종은 모두 700g이었다. 이번에 신메뉴를 내놓으면서 순살 제품 중량을 500g으로 통일, 운영 효율을 높였다는 것이다.
중량 변경에 대한 고지가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교촌 홈페이지 내 신메뉴 설명란에 관련 사실을 안내했다고 말했다. 실제 홈페이지에는 “본 제품은 리뉴얼돼 기존과 다른 새로운 구성으로 제공된다”는 문구가 기재돼 있다. 다만 별도 팝업 안내창을 띄우는 등 손쉽게 확인하도록 하기보단, 소비자가 직접 메뉴 설명 페이지까지 들어가야 알 수 있었다.
일각에선 이 같은 가격 조정에 대한 움직임이 치킨업계 전반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내 치킨업계는 소수 대형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여서 경쟁사 간 상호 의존성이 높고 가격, 중량 변화도 비슷한 행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실제 업계에서도 가격 경쟁을 피하면서도 점유율을 유지하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서로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여기에 배달 수수료, 인건비, 원부자재비 등 고정비 부담 증가와 겨울철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계육 수급 불안정도 가격 인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다른 치킨 프랜차이즈들은 아직 가격 인상이나 중량 변경 계획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정 등으로 부담이 커진 건 맞다”면서도 “당장은 본사가 닭 매입가 상승 부담을 떠안더라도 가맹점주들에게 안정적 공급 환경을 제공하고 매장 운영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순살치킨 메뉴 가격은 그대로 두고 중량을 기존 대비 약 30% 줄여 소비자들이 불만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특히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순살치킨과 비교했을 때 동일 중량 대비 가격차가 3~4배에 달해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논란에 불을 붙였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교촌치킨은 순살치킨의 조리 전 중량을 기존 700g에서 500g으로 약 30% 줄였다. 마라레드순살과 허니갈릭순살 등 신메뉴 10종과 간장순살, 레드순살 등 기존 메뉴 4종에 모두 적용됐다. 신메뉴 중량을 500g으로 맞춰 출시하면서 기존 순살 제품도 일괄 축소한 것이다.
즐거운주식투자
재료 구성과 조리 방식에도 변화를 줬다. 기존 순살 메뉴는 주로 닭다리살을 사용했지만, 비교적 값이 싸고 맛이 다소 퍽퍽하단 평가도 받는 닭가슴살을 혼용했다. 제품 조리법 또한 교촌은 치킨 조각에 소스를 일일이 붓으로 바르는 방식을 강조해왔는데 양념을 한꺼번에 버무리는 ‘텀블링 방식’으로 변경했다.
교촌이 가격은 그대로 유지한 채그린손해보험 주식
중량을 축소하고 재료 구성과 조리 방식도 바꾸자 가격을 올리는 대신 용량을 줄여 사실상 가격 인상 효과를 내는 슈링크플레이션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별다른 고지 없이 조용히 중량을 줄인 점도 소비자들이 불만을 드러내는 포인트다.
사진=뉴스1
황금성게임어플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순살치킨과 비교하면 가격 격차는 더 벌어졌다. 교촌에서 신메뉴로 출시한 마라레드순살(500g·국내산) 가격은 홈페이지 기준 2만3000원으로 100g당 4600원 정도다. 반면 홈플러스에서 판매 중인 당당 후라이드 순살치킨(600g·국내산)은 7990원으로 100g당 약 1330원 수준. 중량 대비 가격을황금성오락실
따졌을 때 교촌 순살 제품이 대형마트 순살 제품보다 약 3.5배 비싸졌다.
이처럼 체감 가격이 확 뛰자 아쉽다는 소비자 반응이 주를 이룬다. 서울 중구에 거주하는 40대 주부 이모 씨는 “아이들이 순살을 즐겨먹다 보니 집에서 치킨을 자주 시켜 먹는데 양이 줄었다고 하니 시켜 먹기 부담스러워진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직접투자
서울 용산구에서 자취하는 20대 장모 씨도 “순살치킨을 좋아하는데 중량이 줄어 확실히 전보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떨어진 느낌이 든다. 마트나 편의점에서 가격이 싼 치킨을 찾게 된다”고 했다.
사진=한경DB
'꼼수 가격 인상' 여론이 일자 교촌은 진화에 나섰다. 회사 관계자는 “점주들의 조리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매장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품 중량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신메뉴 출시 전 교촌은 5종의 순살치킨을 취급했는데 이 가운데 ‘허니순살’ 제품 중량만 500g이었고, 나머지 4종은 모두 700g이었다. 이번에 신메뉴를 내놓으면서 순살 제품 중량을 500g으로 통일, 운영 효율을 높였다는 것이다.
중량 변경에 대한 고지가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교촌 홈페이지 내 신메뉴 설명란에 관련 사실을 안내했다고 말했다. 실제 홈페이지에는 “본 제품은 리뉴얼돼 기존과 다른 새로운 구성으로 제공된다”는 문구가 기재돼 있다. 다만 별도 팝업 안내창을 띄우는 등 손쉽게 확인하도록 하기보단, 소비자가 직접 메뉴 설명 페이지까지 들어가야 알 수 있었다.
일각에선 이 같은 가격 조정에 대한 움직임이 치킨업계 전반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내 치킨업계는 소수 대형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여서 경쟁사 간 상호 의존성이 높고 가격, 중량 변화도 비슷한 행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실제 업계에서도 가격 경쟁을 피하면서도 점유율을 유지하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서로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여기에 배달 수수료, 인건비, 원부자재비 등 고정비 부담 증가와 겨울철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계육 수급 불안정도 가격 인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다른 치킨 프랜차이즈들은 아직 가격 인상이나 중량 변경 계획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정 등으로 부담이 커진 건 맞다”면서도 “당장은 본사가 닭 매입가 상승 부담을 떠안더라도 가맹점주들에게 안정적 공급 환경을 제공하고 매장 운영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